기업정보

뒤로

기업심층분석 3. 무림페이퍼, 재무제표 및 사업보고서

2023.12.02. 조회수 434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지표를 가장 쉽게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회계 보고서다. 해당 기업의 경영진이 회사를 잘 경영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경영실적보고서의 의미를 갖는다. 지원자는 기업의 실적과 재무 건전성을 토대로 현재 기업의 경영 상황을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지원 기업에 대해 재무 안전성과 경영 상태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무림페이퍼, 재무제표 분석

Analysis 1. 매출 현황

2022년 매출액은 5,461억 원으로 전년 대비 19.73% 증가했다. 2021년 184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으나 2022년에는 111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했다. 반면 당기순손실은 108억 원으로 2021년에 이어 적자를 이어가고 있다. 전년도에는 발생하지 않은 유형자산손상차손이 122억 원 발생해 기타 비용이 크게 증가했으며, 외환차손/파생상품평가손실 등이 확대된 영향이다.


Analysis 2. 사업 성과

코로나19 재확산 및 제조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직전년도 대비 환율 상승, 해상운임 안정화, 판매가격 상승 등에 따라 매출이 증가했다. 환율 상승에 따른 수출 부문 이익 증가 및 원/부재료, 에너지 비용 등 제조원가 상승에 따른 판매가격 인상으로 영업이익은 개선됐다.

내수 매출은 2,897억 원으로 전체 5,461억 원의 53%가량이다. 나머지 해외 매출 중에서는 북미가 1,581억 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북미 매출은 2021년 1,086억 원보다 45% 이상 증가한 금액이다. 미국은 종이 생산량과 수입량 감소와 종이 원자재 펄프 가격 폭등이 맞물리면서 종이 대란을 겪었다. 무림페이퍼는 무림USA를 통해 디지털 용지 등을 수출하고 있다.


Analysis 3. 향후 성장성

제지 산업은 현재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인 친환경의 중심이 되는 만큼 수요처는 무궁무진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친환경 종이 소재와 관련해 꾸준한 성장세가 기대된다. 무림페이퍼는 대체소재화 기술 연구는 물론 원가 경쟁력과 생산성 확보 방안도 동시에 연구하고 있다. 각종 생분해성 원지와 포장재 연구에 힘을 쏟고 있으며, 무림페이퍼가 2020년 론칭한 친환경 종이 브랜드 ‘네오포레’ 제품 라인업 확대를 통해 친환경 신소재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무림페이퍼는 무림P&P와의 시너지 효과를 기반으로 수익성 향상을 도모하는 한편, 화학펄프 품질 고도화로 경쟁력을 확보해 간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