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정보

뒤로

기업심층분석 3. 한국훼스토, 재무제표 및 사업보고서

2023.11.14. 조회수 316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 상태와 경영 지표를 가장 쉽게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회계 보고서다. 해당 기업의 경영진이 회사를 잘 경영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경영실적보고서의 의미를 갖는다. 지원자는 기업의 실적과 재무 건전성을 토대로 현재 기업의 경영 상황을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지원 기업에 대해 재무 안전성과 경영 상태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한국훼스토, 재무제표 분석

Analysis 1. 매출 현황

한국훼스토는 2022년 연 매출 1,235억 원을 기록하고, 영업이익 83억 원을 달성했다. 2021년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086억 원과 55억 원이었으며, 2020년에는 1,035억 원과 38억 원이었다. 매출 영업이익 모두 증가 추세로, 영업이익률은 2020년의 3.69%에서 2022년 6.73%로 개선됐다.


Analysis 2. 사업 성과

훼스토는 고객 관점의 비즈니스 모델을 확장하며 전 사업 부문에서 우수한 실적을 거뒀다. 공압 및 전기 자동화 기술 35개 이상의 산업 분야에서 30만 명의 고객에게 제품을 공급한다. 세계 61개국 250개 지사에서 2만 700여 명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1년에는 약 33억 6,000만 유로의 매출을 달성했다.

한국훼스토는 1980년 한국에 회사를 설립한 이래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 산업 자동화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토털 솔루션’으로 생산성 극대화를 위해 노력했다. 서보와 로봇 시스템, 특정 프로세싱을 위한 공압 유닛,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Remote IO 간의 원활한 조합을 통해 고객에게 토털 솔루션을 제시하며, 이와 같은 유기적인 시스템의 적용이 고객에게 설득력 있게 다가갈 수 있었다. 한국훼스토의 2022년 매출액은 1,234억 7,900만 원으로 업계 평균 대비 2,366% 수준이며, 영업이익률 역시 1,961%로 업계 최상위권이다.


Analysis 3. 향후 성장성

최근 업계의 화두는 ‘인더스트리 4.0’ 즉 4차 산업혁명인데, 그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스마트 팩토리로의 전환이다. 글로벌 스마트 팩토리 시장 규모는 급성장 중으로, 2024년에 약 2,448억 2,000만 달러(약 321조 원)로 부피가 커질 전망이다. 국내도 약 152억 8,000만 달러(약 20조 원) 규모의 성장이 예상된다. 정부는 이미 2018년에 스마트 팩토리 비율을 늘려 제조 강국을 실현하겠다는 비전을 선포했고, 2022년까지 스마트 팩토리 3만 개를 보급한다는 목표를 수립, 실천까지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다만, 현재까지 마련된 스마트 팩토리는 기초/중간 단계까지 구현됐으며, 이들을 모두 고도화 단계까지 끌어올리는 것이 시급하다.

한국훼스토는 매출의 7~8%를 꾸준히 R&D(연구개발)에 투자한다. 새로운 고객의 요구를 수용하고 이를 시스템화하는 것이 핵심 역량이며, 공압 및 전기 자동화 제품과 디지털화 분야를 아우르는 전천후 자동화 솔루션을 이미 2019년 세미콘코리아에서 발표했다. 이는 스마트 팩토리에 필요한 솔루션으로, 향후 스마트 팩토리의 고도화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한국훼스토가 준비해 온 역량이 발휘될 기회가 충분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은 잡코리아(유)에 있으며,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 합니다.